본문 바로가기

하루하루

『달 너머로 달리는 말』김훈, 2020 김훈 작가의 소설. 신화나 역사물을 가장한 판타지물이라 할 만 하다. 특유의 간결한 문장으로 왕국의 성쇠와 말들의 생몰을 건조하게 펼쳐낸다. 더보기
『어쩌다보니 스페인어였습니다』하현, 2019 소설가가 꿈인데 어쩌다보니 에세이만 쓰게 된 작가의 스페인어 학습기. 인스타에서 공감을 많이 불러일으키는 글을 쓰다가 독립출판물 『달의 조각』을 내게 되었고, 빌리버튼 출판사의 제안을 받아 재출판, 나름 괜찮은 반응을 받았던 작가이다. 『달의 조각』과 마찬가지로 '유치함'과 '안 유치함'의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책. 무엇보다, 20대의 솔직한 마음을 접하는 것에 책의 가치가 있다. 술술 읽혀서 다 읽는데 2시간도 안 걸렸다. 20대로 돌아가 공감하게 되는 책. 그리고 철없음과 미숙함을 그리워하게 만드는 책. 더보기
『리뷰 쓰는 법』 - 가와사키 쇼헤이 (2016 → 유유, 2018)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44999 비평의 의미 : 비평은 가치를 전달하는 것. 준비 : 감정 배제 대립 의견 상정 자료 조사 비평이 세계에 끼칠 영향을 상상 독자의 이해력을 높이 상정 쓸 때 : 평균적인 독자를 만족시키는 글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는다. 독자가 주의를 기울이는 문장을 쓰자. 정보는 서두에 정리하고 후반에 의견을 담자. 긍정적인 점을 강조하기 전에 부정적인 요소를 먼저 밝혀보자. 긍정의 말로서 부정을 강조할 수 있다. 일인칭 복수 대명사 (우리들) 은 함부로 쓰지 말고 되도록 일인칭 단수 대명사 (나) 를 주어로 삼자. 다만 나의 의견일 뿐이라는 인상을 줘서는 안 된다. 삼인칭 대명사를 주어로 삼을 때도 있다. 자신 스스.. 더보기
아이들에게 가장 신나는 꿈은... (씨네 21 2016년 8월 23일)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에서 마이 리틀 자이언트 (스티븐 스필버그, 2016)에 대한 리뷰 중 일부 "이 성대한 조찬을 구경하는 동안 내 마음속에서는 까맣게 잊었던 어린 시절의 판타지가 하나씩 깨어났다. 고독한 어른과 말 통하는 단짝 되기, 훌륭한 일을 해내 아빠와 엄마를 깜짝 놀라게 하기, 좋아하는 디저트부터 먹기, 나만 아는 비밀을 어른들에게 깨우쳐주기. 요컨대 아이들에게 가장 신나는 꿈은 사탕과 장난감을 잔뜩 갖는 것이 아니라 멋진 모습으로 어른들을 감탄시키는 것이다. 세상이 내 의견에 진심으로 귀 기울여 공헌할 기회를 준다면, 어른들이 내가 좋아하는 별난 친구를 인정해준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캬아.. 그러하다. 아이들은 진실로 그러하다. 더보기
2016년 2월 첫째주의 음악: 이채언루트 (echae en route) - 'A Song Between Us' 클래식 바이올린을 전공하던 강이채가 집시재즈에 매력을 느껴 버클리음대에 진학, 졸업 후 샌프란시스코에서 활동하다가 2014년 귀국, '솔루션스 (Solutions)'의 베이시스트 권오경과 듀오를 결성하여 EP를 발표했다. 그것이 이 곡이 들어있는 [Madeline]. 버클리 음대 오케스트라의 악장을 역임했다는 강이채의 연주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A Song Between Us'와 '달데이트'의 센스 있는 아르페지오, 'Run'의 재지하고 리드미컬한 프레이즈를 듣고 있자니, 어우 귀지가 절로 나올 듯, 귓속이 통쾌하다. 권오경의 베이스 또한, 애당초 실험적인 듯 보이는 밴드 구성임에도, 상당히 괜찮은 앙상블을 보여준다. 또한 강이채의 목소리가 참 매력적인데, 낮고 허스키한 음색, 그리고 깊은 'R' 발.. 더보기
개인과 사회, 자연을 모두 살펴야 진실한 치료임을 - [인문과 학의학, 치료로 만나다] (강용원, 2014) 'N포세대'라고 했던가. 포기에 포기를 거듭해야만, 겨우 숨 쉬고 밥 먹고 살아갈 수 있다고 하는 젊은이들이 있는 사회, 지금의 한국이다. 이런 한국의 병적인 상태를 치유하고자 하는 바램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이 '인문학'인데, 인문학적인 치료를 표방하는 행위들을 접한 저자가, 치료를 주업무로 하는 의료인의 입장에서, 본인이 가진 인문학적인 견해를 첨부하여,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는 현재 한의사로, 과거에 신학대를 다녔고, 사회운동에도 열정적으로 참여했는데, 그것이 책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원효의 '화쟁' 사상을 본인의 해석대로 진료 과정에 응용하고 있으며, 치료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만 이루어질 것이 아니라, 가족, 국가, 나아가 자연까지 다루어야 진정으로 치료가 될 수 있다고 역설한.. 더보기
욕망 앞에 장사 없음을 - 나의 사적인 여자친구 (Une Nouvelle Amie) (Francois Ozon, 2014) 사랑하는 아내를 잃고 여성복도착자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이빗과, 사랑하는 친구를 잃고 그의 남편이 여성복도착자인 걸 알게 된 후 자신의 은밀한 욕망 역시 드러나게 되는 클레어의 이야기. 남들이 원하는 걸 자신이 원하지 않음을 알게 되는 당혹스러움에 공감하게 만들고, 그리고 위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건 감독의 재주. 하지만 좋은 짜임새 같지만서도, 이런 욕망이 얽히고 섥힌 이야기가 지탱될 수 있는 건, 작중에서 마치 욕망이 없는 듯이 구는 클레어의 남편 덕이다. 아내가 친구의 남편과 단 둘이 여행을 다녀와도 넘어가고, 아내가 보이는 모습이 의뭉스럽기 짝이 없지만 닦달하지도 않고, 아내가 자신에게 숨기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지만 화내지도 않고, 오히려 늘 아내를 위로하고 조언을 해주는 모습이다. 남편이.. 더보기
나도 한발만 더 갔으면 소시오패스였을까 - In the House (Dans La Maison) (Francois Ozon, 2012) 아주 시~시~하게 이야기해보자면, 집안 사정이 불우하지만 머리 하나는 비상한 소시오패스 학생이, 글쓰기에 열정을 바쳐서 주변인들에게 상처를 주는 이야기랄까. 하지만 요 정도로 표현하기엔 몰입과 재미가 상당하다. 구구절절한 설명 없이도 현실감 있게 다가오는 캐릭터들이, 각자의 욕망 앞에서 각개격파 당하는데, 그 욕망의 부싯돌을 튕긴 게 무언고 하고 쫓아가보면, 금발을 가진 마성의 남학생이 나온다. 나도 어릴 때를 생각해보면, 밑도 끝도 없이 폭력적이고,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공감하지 못 해서, 다른 사람들의 마음 뿐만 아니라 몸에도 상처를 주는 일이 많았는데, 그래서인지 이래저래 좀 공감이 갔던 내용. 그렇다고 내가 마성을 가져서, 누군가로 하여금 욕망을 품게 한 적 따윈 없지만서도.ㅎㅎ 아무튼 그런 소시.. 더보기
Hollie Chastain 위트 있고 따뜻한 느낌의 콜라쥬 작업들. 더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로. http://www.holliechastain.com/ 더보기
겨우 이 정도가 서부의 민낯이려고 - Slow West (John Maclean, 2015)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마카로니 웨스턴에서 이미 낭만적이고 선과 악과 분명한 서부는 벗어났고, 이후 늑대와 춤을 추기도 하고, 흑인 총잡이가 복수를 하기도 했으며, 이번에는 서부 영화 + 순애보 로맨스다. 걸핏 하면 빼앗고, 툭 하면 훔치고, 아무렇지 않게 죽이는 와중에, 사랑과 삶의 가치를 얘기하는 이방인으로 인해 한 무법자가 구원 받는 영화랄까. 연출 담백하고 연기 괜춘하나, 밑도 끝도 없는 순애보와, 개연성 부족한 무법자의 호의, 그리고 별로 그럴 법 하지 않은 총싸움이, 약간 아쉽다. 그래도 뭐, 영화적 재미에 아주아주아주아주 충실한 영화. 아직 안 본 분이라면 강추. 선댄스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을 받았다. 선댄스 영화제가 그닥 예술성 따지지 않아서인지, 내 취향인 경우가 많다. 어디선가 서부개척시대.. 더보기